유용한 사용기를 보셨다면 추천해주세요. 추천받으신 분에게는 감사의 의미로 보너스 피크가 지급됩니다.
(출처:스윙기타)
***PS-5 Super Shifter
보스의 이펙터 페달 중 가장 비싼 모델이죠. 딜레이 기능을 응용해서 음정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미리 지정한 폭 만큼 음정을 위 아래로 변환시키는게 가능하고 3도, 4도, 5도, 6도, 한 옥타브, 두 옥타브의 음을 동시에 내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Tremolo Arm 기능은 미리 지정한 정확한 음정으로 마치 트레몰로 암을 사용해서 음을 올리거나 내리는 효과를 냅니다. 페달을 밟으면 아밍 업 또는 다운이 되고 페달을 놓아주면 원래의 음정으로 돌아가죠. Flutter 기능은 트레몰로 암을 사용해서 빠르게 음정을 변화시키는 효과를 냅니다.
사용상의 주의점은 피치를 변환할 때는 정확히 튜닝된 기타로 정확한 음정을 내야한다는거죠. 약간의 불협화음이 변환을 거치면서 확대될 수 있으니까요. 또한 염두에 둘 것은 디지털 사운드 느낌이 강하다는 것과, 배터리로 작동하는 것은 별로 좋은 생각이 못된다는 겁니다. 딜레이류와 마찬가지로 배터리를 거의 한시간에 하나씩 잡아먹죠.
***DD-3 Digital Delay
스탠다드 딜레이입니다. E.Level은 원음에 지연된 음이 섞이는 정도, F.Back(Feedback)은 Decay time - 지연된 음이 지속되는 시간, D.Time(Delay Time)은 지연되는 음 사이의 간격을 세팅합니다. 3가지 모드와 D.Time 컨트롤을 이용해서 12.5 ms ~ 800 ms 사이의 딜레이 타임을 연속적으로 세팅할 수 있으며 Hold 모드를 사용하면 Decay time이 무한대가 되면서 딜레이 음이 페달을 누르고 있는 동안은 쭉 지속되죠.
***DD-5 Digital Delay
DD-3와의 가장 큰 차이는 Delay time이 확장되었다는 것이죠. 1 ms ~ 2000 ms 의 딜레이 타임이 가능합니다. 모드도 11개가 있는데, 1번부터 4번까지는 일반적인 딜레이와 같이 딜레이 타임의 선택이 가능하고, 5번 Hold 모드는 DD-3에서와 같이 딜레이를 쭉 지속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Hold 모드에서는 최대 2초까지의 녹음이 가능해서 반복적인 반주를 녹음한 후에 연속 재생시킬 수가 있죠. 혼자서 반주와 솔로를 할 수 있게 됩니다. 6번 Reverse 모드는 기타 프레이즈를 거꾸로 들려주는 역할을 하고 7번 E/D는 스테레오 아웃을 가능하게 하죠. 한 쪽에서는 딜레이가 걸린 소리를, 다른 한쪽에서는 걸리지 않은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8번부터 11번까지는 Tempo 모드인데, 이건 별도의 풋스위치와 함께 사용해서 리얼타임으로 박자를 입력합니다. 풋스위치를 박자에 맞춰 4번 밟아주면 그 박자에 정확하게 일치하는 딜레이 타임으로 세팅되죠.
DD-3와 DD-5의 차이를 많이들 궁금해하고, 또 DD-5가 더 비싼 모델이니까 무조건 더 좋다고 여기기도 하는데, 여기서 비교한 것처럼 DD-3는 일반 딜레이 기능이 되는 것이고 DD-5는 거기에 추가로 여러가지 기능이 추가된 겁니다. 만약 그냥 일반적인 딜레이로 사용하려고 한다면 DD-3가 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겠죠.
***RV-3 Digital Reverb/Delay
딜레이와 리버브를 합쳐놓은 모델입니다. 11가지 모드 선택이 가능한데, 1 ~ 3번은 딜레이만 되는 모드로 2000 ms 까지의 딜레이 타임이 가능하고 8 ~ 11번은 리버브만 되는 모드로 Room 1/2, Hall, Plate 리버브가 됩니다. 가운데 4개인 4 ~ 7번은 딜레이와 리버브가 동시에 걸리고 딜레이 타임은 32 ~ 1000 ms 사이에서 조정이 가능하죠.
보스의 페달 이펙터 중에서 가장 전력 소모가 많은 모델이므로 배터리보다는 아답터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오버드라이브나 디스토션 계열은 4 ~ 20 mA 의 전류를 사용하므로 배터리를 끼워도 꽤 오래 가지만 50 ~ 70 mA 의 전류를 사용하는 딜레이나 피치쉬프터는 배터리가 한 두 시간이면 끝장납니다. 아답터를 사용하는게 좋죠.
***CH-1 Super Chorus
E.Level, EQ, Rate, Depth 컨트롤이 있습니다. 스테레오 아웃이 가능해서 두 개의 앰프로 분리가 가능하죠. EQ를 사용해서 톤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CE-5 Chorus Ensemble
CH-1과 마찬가지로 코러스인데, 주파수 대역이 더 넓고 CH-1의 EQ 대신 high 와 low filter 컨트롤이 따로 있어서 좀 더 미세한 톤 조절이 가능합니다.
***BF-2 Flanger
Manual, Depth, Rate, RES(Resonance) 4개의 컨트롤이 있습니다.
Manual은 딜레이 된 신호가 원래 신호에 섞이는 정도를, Depth는 상하 진동 폭을, Rate는 변조가 일어나는 주파수 대역을, RES는 처리된 신호가 다시 입력단으로 되먹임 되는 정도를 컨트롤하죠.
제트기 소리에서부터 짧은 딜레이와 코러스, 비브라토의 효과도 낼 수 있습니다. 보통 디스토션이나 오버드라이브와 같이 사용하죠.
***TR-2 Tremolo
60년대 빈티지 앰프에 내장된 트레몰로(펜더 앰프에는 비브라토라고 씌여 있는 기능) 사운드를 재현하는 이펙터입니다. Rate, Depth 컨트롤이 있고, triangle 에서 square 까지 파형을 조작할 수 있는 Wave 컨트롤이 있습니다.
PH-2 Super Phaser
Rate, Depth, RES 컨트롤과 Mode I/II 셀렉터가 있습니다. 12단계의 위상변환회로를 사용해서 Rotary speaker 사운드를 재현한 소리가 나죠. Mode I이 일반적인 페이저라면 Mode II는 펑키한 기타에 어울리는 깊고 풍부한 페이저 사운드입니다.
***GE-7 Equalizer
기타 톤에 적합하게 100 ~ 6,400 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게 하는 EQ입니다. 주파수를 7개의 대역으로 나눈 7-band EQ고, 각 대역별로 ±15 dB 의 출력조정이 가능합니다.
***OC-2 Octave
원음의 한 옥타브 아래음과 두 옥타브 아래음을 같이 내줌으로써 사운드를 두껍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OCT1 과 OCT2 컨트롤을 사용해서 각 옥타브 음의 볼륨을 세팅할 수 있고 Direct Level 로 옥타브 음들이 원음에 섞이는 정도를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AC-2 Acoustic Simulator
일렉트릭 솔리트 바디 기타의 음을 어쿠스틱 기타 음으로 바꿔주는 이펙터입니다. 두 개의 아웃풋이 있는데 하나는 일렉트릭 기타 앰프로 가고 하나는 어쿠스틱 기타와 마찬가지로 PA 시스템이나 어쿠스틱 앰프로 갑니다. 연주 중에 스위칭이 가능하죠.
Level은 어쿠스틱 사운드의 볼륨이고 Body는 어쿠스틱 기타 바디의 울림을 조정할 수 있는 노브입니다. Top은 톤의 밝기와 하모닉스를 컨트롤 할 수 있고 Mode 셀렉터로 Standard, Jumbo, Enhance, Piezo 등의 선택이 가능합니다.
***CS-3 Compression Sustainer
일반적인 컴프레서인데 이름에 서스테이너가 들어가는 이유는 컴프레서의 특성상 release time을 길게 잡으면 서스테인이 길어지는 효과가 나기 때문입니다.
Level과 Tone 컨트롤이 있고 Attack으로 임계값(threshold, 이 값 이상의 입력이 들어오면 신호를 깎아냄)을, Sustain으로 release time 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NS-2 Noise Suppressor
일정 수준 이하의 신호(보통 잡음)가 들어오면 센서가 감지해서 소리를 차단해주는 이펙터입니다.
Threshold는 임계값을 지정해주고 Decay는 차단하는 decay time을 지정해줍니다. Mode는 Reduction과 Mute가 있는데 Reduction은 잡음을 감소시켜주고 Mute는 아예 소리를 차단해버립니다. 이걸 사용하면 기타에서 잭을 뽑아도 아무 잡음이 안나죠. 일반적인 이펙터 체인에 쓰는 인풋/아웃풋 외에 라인 입출력을 위한 별도의 Return/Send 단자가 있습니다.
***AW-3 Dynamic Wah
기타와 베이스에 사용할 수 있는 오토와우입니다. 기타와 베이스 인풋단자가 따로 있죠. "Humanizer" 라는 이펙터가 내장되어 있어서 사람의 목소리 비슷한 사운드를 내기도 합니다. EXP 페달 모드가 있어서 EXP 단자에 익스프레션 페달을 끼운 다음에 일반적인 와우처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Tempo를 사용해서 자동으로 먹는 와우의 주기를 세팅할 수 있죠.
***DC-2 Dimension C & DC-3 Digital Dimension
지금은 단종됐지만 DC-2 Dimension과 DC-3 Digital Dimension도 보스를 대표하는 코러스 이펙터로 유명했죠.
DC-2는 미리 지정된 4개의 코러스 모드를 4개의 버튼으로 선택하는 방식이었습니다. DC-3에 와서야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E.Level, EQ, Rate, Depth 4개의 컨트롤이 생기게 되었죠.
만약 집에 안쓰는 DC-2 같은게 굴러다니면 잘 보관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제는 빈티지 이펙터로서의 가치가 있고, 사운드 또한 꽤 쓸만하니까요.
***PS-5 Super Shifter
보스의 이펙터 페달 중 가장 비싼 모델이죠. 딜레이 기능을 응용해서 음정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미리 지정한 폭 만큼 음정을 위 아래로 변환시키는게 가능하고 3도, 4도, 5도, 6도, 한 옥타브, 두 옥타브의 음을 동시에 내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Tremolo Arm 기능은 미리 지정한 정확한 음정으로 마치 트레몰로 암을 사용해서 음을 올리거나 내리는 효과를 냅니다. 페달을 밟으면 아밍 업 또는 다운이 되고 페달을 놓아주면 원래의 음정으로 돌아가죠. Flutter 기능은 트레몰로 암을 사용해서 빠르게 음정을 변화시키는 효과를 냅니다.
사용상의 주의점은 피치를 변환할 때는 정확히 튜닝된 기타로 정확한 음정을 내야한다는거죠. 약간의 불협화음이 변환을 거치면서 확대될 수 있으니까요. 또한 염두에 둘 것은 디지털 사운드 느낌이 강하다는 것과, 배터리로 작동하는 것은 별로 좋은 생각이 못된다는 겁니다. 딜레이류와 마찬가지로 배터리를 거의 한시간에 하나씩 잡아먹죠.
***DD-3 Digital Delay
스탠다드 딜레이입니다. E.Level은 원음에 지연된 음이 섞이는 정도, F.Back(Feedback)은 Decay time - 지연된 음이 지속되는 시간, D.Time(Delay Time)은 지연되는 음 사이의 간격을 세팅합니다. 3가지 모드와 D.Time 컨트롤을 이용해서 12.5 ms ~ 800 ms 사이의 딜레이 타임을 연속적으로 세팅할 수 있으며 Hold 모드를 사용하면 Decay time이 무한대가 되면서 딜레이 음이 페달을 누르고 있는 동안은 쭉 지속되죠.
***DD-5 Digital Delay
DD-3와의 가장 큰 차이는 Delay time이 확장되었다는 것이죠. 1 ms ~ 2000 ms 의 딜레이 타임이 가능합니다. 모드도 11개가 있는데, 1번부터 4번까지는 일반적인 딜레이와 같이 딜레이 타임의 선택이 가능하고, 5번 Hold 모드는 DD-3에서와 같이 딜레이를 쭉 지속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Hold 모드에서는 최대 2초까지의 녹음이 가능해서 반복적인 반주를 녹음한 후에 연속 재생시킬 수가 있죠. 혼자서 반주와 솔로를 할 수 있게 됩니다. 6번 Reverse 모드는 기타 프레이즈를 거꾸로 들려주는 역할을 하고 7번 E/D는 스테레오 아웃을 가능하게 하죠. 한 쪽에서는 딜레이가 걸린 소리를, 다른 한쪽에서는 걸리지 않은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8번부터 11번까지는 Tempo 모드인데, 이건 별도의 풋스위치와 함께 사용해서 리얼타임으로 박자를 입력합니다. 풋스위치를 박자에 맞춰 4번 밟아주면 그 박자에 정확하게 일치하는 딜레이 타임으로 세팅되죠.
DD-3와 DD-5의 차이를 많이들 궁금해하고, 또 DD-5가 더 비싼 모델이니까 무조건 더 좋다고 여기기도 하는데, 여기서 비교한 것처럼 DD-3는 일반 딜레이 기능이 되는 것이고 DD-5는 거기에 추가로 여러가지 기능이 추가된 겁니다. 만약 그냥 일반적인 딜레이로 사용하려고 한다면 DD-3가 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겠죠.
***RV-3 Digital Reverb/Delay
딜레이와 리버브를 합쳐놓은 모델입니다. 11가지 모드 선택이 가능한데, 1 ~ 3번은 딜레이만 되는 모드로 2000 ms 까지의 딜레이 타임이 가능하고 8 ~ 11번은 리버브만 되는 모드로 Room 1/2, Hall, Plate 리버브가 됩니다. 가운데 4개인 4 ~ 7번은 딜레이와 리버브가 동시에 걸리고 딜레이 타임은 32 ~ 1000 ms 사이에서 조정이 가능하죠.
보스의 페달 이펙터 중에서 가장 전력 소모가 많은 모델이므로 배터리보다는 아답터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오버드라이브나 디스토션 계열은 4 ~ 20 mA 의 전류를 사용하므로 배터리를 끼워도 꽤 오래 가지만 50 ~ 70 mA 의 전류를 사용하는 딜레이나 피치쉬프터는 배터리가 한 두 시간이면 끝장납니다. 아답터를 사용하는게 좋죠.
***CH-1 Super Chorus
E.Level, EQ, Rate, Depth 컨트롤이 있습니다. 스테레오 아웃이 가능해서 두 개의 앰프로 분리가 가능하죠. EQ를 사용해서 톤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CE-5 Chorus Ensemble
CH-1과 마찬가지로 코러스인데, 주파수 대역이 더 넓고 CH-1의 EQ 대신 high 와 low filter 컨트롤이 따로 있어서 좀 더 미세한 톤 조절이 가능합니다.
***BF-2 Flanger
Manual, Depth, Rate, RES(Resonance) 4개의 컨트롤이 있습니다.
Manual은 딜레이 된 신호가 원래 신호에 섞이는 정도를, Depth는 상하 진동 폭을, Rate는 변조가 일어나는 주파수 대역을, RES는 처리된 신호가 다시 입력단으로 되먹임 되는 정도를 컨트롤하죠.
제트기 소리에서부터 짧은 딜레이와 코러스, 비브라토의 효과도 낼 수 있습니다. 보통 디스토션이나 오버드라이브와 같이 사용하죠.
***TR-2 Tremolo
60년대 빈티지 앰프에 내장된 트레몰로(펜더 앰프에는 비브라토라고 씌여 있는 기능) 사운드를 재현하는 이펙터입니다. Rate, Depth 컨트롤이 있고, triangle 에서 square 까지 파형을 조작할 수 있는 Wave 컨트롤이 있습니다.
PH-2 Super Phaser
Rate, Depth, RES 컨트롤과 Mode I/II 셀렉터가 있습니다. 12단계의 위상변환회로를 사용해서 Rotary speaker 사운드를 재현한 소리가 나죠. Mode I이 일반적인 페이저라면 Mode II는 펑키한 기타에 어울리는 깊고 풍부한 페이저 사운드입니다.
***GE-7 Equalizer
기타 톤에 적합하게 100 ~ 6,400 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게 하는 EQ입니다. 주파수를 7개의 대역으로 나눈 7-band EQ고, 각 대역별로 ±15 dB 의 출력조정이 가능합니다.
***OC-2 Octave
원음의 한 옥타브 아래음과 두 옥타브 아래음을 같이 내줌으로써 사운드를 두껍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OCT1 과 OCT2 컨트롤을 사용해서 각 옥타브 음의 볼륨을 세팅할 수 있고 Direct Level 로 옥타브 음들이 원음에 섞이는 정도를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AC-2 Acoustic Simulator
일렉트릭 솔리트 바디 기타의 음을 어쿠스틱 기타 음으로 바꿔주는 이펙터입니다. 두 개의 아웃풋이 있는데 하나는 일렉트릭 기타 앰프로 가고 하나는 어쿠스틱 기타와 마찬가지로 PA 시스템이나 어쿠스틱 앰프로 갑니다. 연주 중에 스위칭이 가능하죠.
Level은 어쿠스틱 사운드의 볼륨이고 Body는 어쿠스틱 기타 바디의 울림을 조정할 수 있는 노브입니다. Top은 톤의 밝기와 하모닉스를 컨트롤 할 수 있고 Mode 셀렉터로 Standard, Jumbo, Enhance, Piezo 등의 선택이 가능합니다.
***CS-3 Compression Sustainer
일반적인 컴프레서인데 이름에 서스테이너가 들어가는 이유는 컴프레서의 특성상 release time을 길게 잡으면 서스테인이 길어지는 효과가 나기 때문입니다.
Level과 Tone 컨트롤이 있고 Attack으로 임계값(threshold, 이 값 이상의 입력이 들어오면 신호를 깎아냄)을, Sustain으로 release time 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NS-2 Noise Suppressor
일정 수준 이하의 신호(보통 잡음)가 들어오면 센서가 감지해서 소리를 차단해주는 이펙터입니다.
Threshold는 임계값을 지정해주고 Decay는 차단하는 decay time을 지정해줍니다. Mode는 Reduction과 Mute가 있는데 Reduction은 잡음을 감소시켜주고 Mute는 아예 소리를 차단해버립니다. 이걸 사용하면 기타에서 잭을 뽑아도 아무 잡음이 안나죠. 일반적인 이펙터 체인에 쓰는 인풋/아웃풋 외에 라인 입출력을 위한 별도의 Return/Send 단자가 있습니다.
***AW-3 Dynamic Wah
기타와 베이스에 사용할 수 있는 오토와우입니다. 기타와 베이스 인풋단자가 따로 있죠. "Humanizer" 라는 이펙터가 내장되어 있어서 사람의 목소리 비슷한 사운드를 내기도 합니다. EXP 페달 모드가 있어서 EXP 단자에 익스프레션 페달을 끼운 다음에 일반적인 와우처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Tempo를 사용해서 자동으로 먹는 와우의 주기를 세팅할 수 있죠.
***DC-2 Dimension C & DC-3 Digital Dimension
지금은 단종됐지만 DC-2 Dimension과 DC-3 Digital Dimension도 보스를 대표하는 코러스 이펙터로 유명했죠.
DC-2는 미리 지정된 4개의 코러스 모드를 4개의 버튼으로 선택하는 방식이었습니다. DC-3에 와서야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E.Level, EQ, Rate, Depth 4개의 컨트롤이 생기게 되었죠.
만약 집에 안쓰는 DC-2 같은게 굴러다니면 잘 보관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제는 빈티지 이펙터로서의 가치가 있고, 사운드 또한 꽤 쓸만하니까요.
- 다음글622. 진공관 앰프에 대해서 XuX22년 전
- 현재글621. Boss의 공간계열 이펙터 XuX22년 전
- 이전글620. Boss의 드라이브계열 이펙터 XuX22년 전
댓글0:::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