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목재.. - 리뷰/사용기 - 모터핑거

모터핑거

일렉기타 통기타 베이스 강좌 커뮤니티

나무 목재.. - 리뷰/사용기 - 모터핑거 애쉬(물푸레 나무 재목) [별명/속명] - 생물학에 - 일렉기타 통기타 베이스 강좌 커뮤니티

모터핑거 알림:

내용

유용한 사용기를 보셨다면 추천해주세요. 추천받으신 분에게는 감사의 의미로 보너스 피크가 지급됩니다.

으메 적셔주능겨~ 22년 전 조회 1,756 댓글 11
URL

http://www.motorfinger.net/648 복사

애쉬(물푸레 나무 재목) [별명/속명] - 생물학에서 학명 이외에 습관적으로 쓰이고 있는 동·식물명(이하 동일) White ash / Canadian Ash(UK), Red Ash(Canada) [원산지] - 캐나다, 북아메리카 온대북부, 유럽각지 [수목특성] - 환공재(環孔材). 높이 25-36m(80-120ft), 직경 0.6-1.5m(2-5ft)정도의 중간크기 내지는 대형의 식물. 백색이고 명확한 나이테가 있다. 나무결은 곧바르다. 싹은 변재(모개의 표피부근의 흰부분)의 구별도 명료하고, 규칙적이고 확실한 나무결을 가진다. 안정도가 높고, 탄력성·강도가 뛰어난 목재. 건조는 양호하지만, 휘어짐, 굽어짐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건조·가공에 주의가 필요. [기타에서의 사용부분] - 50년대의 펜더사를 비롯하여, 널리 각 메이커의 기타 및 베이스의 바디(몸체)에 앨더(오리나무)와 병행하여 가장 많이 일반적으로사용되고 있다. [비중] 0.69 [평균적 음질특성] - 고음에서 저음까지 폭넓은 음역을 지닌다. 특히 풍부한 중저음역을 갖추고 있어, 앨더(오리나무)와 병행하여 일렉기타와 베이스에 적합한 밸런스가 좋은 넓은 음역을 갖추고 있다. 첫 시작음에 뛰어나고, 앨더보다 탄력성이 풍부하며, 음의 고저가 확실한 성질을 지닌다. [유사종] - 스완프·애쉬, 토네리코 류 앨더(오리나무) [별명/속명] - US alder/ Black alder(UK), Red alder(USA), Gry alder(Europe) [원산지] - 유럽, 러시아, 북아메리카 및 캐나다의 태평양 연안, 서아시아, 일본 [수목특성] - 산공재(散孔材). 조금 옅은 적자색. 표면은 정밀하지만, 특별한 나무결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검은 얼룩 같은 것이 곳곳에 자주 보인다. 비중은 중간정도. 가공·건조 모두 양호. 목재로써도 별다른 습성이 없어 매우 가공하기 쉽다. 이 종류의 특징은 습한 토지에서 자라고, 수목 높이는 15-27m(50-90ft), 직경 1-1.2m(1-4ft)정도의 중간크기 수목. 태평양 연안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광엽수. 유통량도 풍부하고 시장가격도 안정되어 있다. [기타에서의 사용부분] - 기타 및 베이스의 바디로써 애쉬와 함께 널리 사용된다. [비중] 0.43 [평균적 음질특성] - 애쉬와 병행하여, 빈티지·펜더사의 시절부터 널리 각 기타 메이커에 사용되고 있다. 빈티지·톤이 가지는 이른바 마르고 새는 듯한 느낌의 톤이라고 일반적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사실, 목재로써 소박하고 별다른 습성없는 비교적 단조로운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그 악기의 구조나 마운트되어 있는 픽업의 특성을 직접적으로 끄집어낸다. [유사종] 오리나무 마호가니 [별명/속명] - Swietenia屬의 수목을 상업명칭으로 마호가니라고 부른다. 종류는 5종이지만, ① S.mahagoni ② S.macrophylla(온두라스·마호가니) ③ S.humulissZucc(아프리칸·마호가니) 이렇게 3종류로 통합. <br> [원산지] ① 서인도제도(포함하는 플로리다), 쿠바. ② 멕시코 남부부터 남아메리카 콜롬비아까지의 대서양연안,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페루, 볼리비아, 브라질, 동남아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자바섬(필리핀·마호가니). ③ 중앙아프리카 태평양연안, 나이지리아, 가나, 아이보리 해안, 카메룬, 탄자니아, 모잠비크, 우간다 [수목특성] - 산공재(散孔材). 수목 높이 40-45m(131ft-150ft), 직경 1.8-2.4m(6-8ft). 마호가니·칼라라고 불리어지는 독특한 짙은 적갈색. 표면은 평범하고, 나무결은 곧고, 보통은 화려하지 않고 이렇다 할 만한 나무결은 아니지만, 매우 드물게 교착, 파도 형상(프레임/호랑이?)이나 소용돌이 모양(킬테드)의 나무결을 가진 것도 있다. 건조, 가공성은 매우 좋다. 무게는 중량. 강도는 보통. 수목의 종류에 따라 특성도 다소 다르다. 일반적으로 중남미산 온두라스·마호가니가 기타용으로써는 가장 안정, 양질. 필리핀·마호가니는 시장가격은 조금 싸지만 질량에 다소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모두 단순히 마호가니라고만 표기하지만, 이 2종류의 등급에는 차이가 있다. [기타에서의 사용부분] - 기타 및 베이스의 바디. 라미네이트·바디의 백(뒤판)재료로써 메이플·탑(앞판)과 짝을 지어 자주 사용된다.(깁슨사의 레스폴·바디의 백 등) [비중] 0.5 - 0.6 [평균적 음질 특성] - 풍부한 중저음역. 따뜻한 톤. 하지만 고음역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둥글고 무딘 특성을 가진다. 날카로운 어택(공격)감이 부족하다. 싱글·코일 용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출력 레벨(파워)을 지닌 험버커 타입의 픽업과 매치하는 두께가 있는 음색을 갖추고 있다. 깁슨사의 SG와 같이 얇은 바디라도 충분한 미들레인지를 이끌어낸다. 레스폴과 같이 탑(앞판)에 메이플 재를 사용한 라미네이트로 인해 매우 밸런스가 잡힌 음색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또 스루넥의 베이스의 라미네이트·바디(복수 재료를 플라이한)의 코어재(중심부)로써 잘 사용되고 있는 것은, 마호가니재가 솔직한 음역특성과 풍부한 배음역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유사종] - 세돌, 스패니시·시다, 멕시칸·시다. 클래식·시다의 네크(목)로써 사용. 로즈우드 [별명/속명] - 인디안·로즈우드, 자단(자주빛 박달나무), East indian rosewood(UK), Bombay blackwood/Shisham/Sissoo/Biti/Kalaruk(India) [원산지] - 인도 남부 및 자바 [수목특성] - 산공재(散孔材). 인도산은 평균 수목 높이 25m(80ft), 직경 0.3-1.5m(1-5ft)로 그다지 크지 않다. [기타에서의 사용부분] - 주로 기타와 베이스의 지판으로써 사용되는 가장 인기있는 목재. 폭넓게 많은 제조업자가 사용. 어쿠스틱·기타의 사이드와 백(뒤판)에도 사용된다. [비중] 0.85 - 0.93 [평균적 음질특성] - 에보니만큼은 아니지만, 충분한 강도를 지닌 고밀도 목재. 에보니보다 흡수성이 뛰어나고, 플레이 어빌리티가 높은 핑거보드이다. 에보니나 메이플·원피스에 비해 조금 무딘 음질이 된다. 그러나 이것도 목재의 특성으로, 실제 같은 규정(픽업 등)에서 핑거보드만 다른 기타를 튕겨 비교해도, 그 차이는 청감상으로는 구분할 수 없을 것이다. 핑거보드는 이론상의 음질보다도 연주성, 강도를 중요시하여 자기에게 맞는 것을 선택해 주기를 바란다. 브라질리안·로즈우드 [별명/속명] - 하카랜더, Jacaranda pardo/Rio rosewood(UK/USA) [원산지] - 브라질 북동부, 바이어주, 리오디자네일주, 에스피트샌트주 , 미나이제라이스주의 강우림에 산재. 노령의 수목은 줄어들었다. 워싱튼 조례에 의해 1993년 브라질로부터의 수출이 금지되었다. [수목특성] - 산공재(散孔材). 수목 높이 38m(125ft), 직경 0.5m(1.1/2ft). 심재와 변재의 구별이 매우 확실하다. 자갈색부터 쵸코렛색까지 짙은 적자갈색의 변화가 많은 아름다운 줄무늬가 있다. 유분이 많고, 왁스상태의 감촉을 지닌다. 나무결은 곧다. [기타에서의 사용부분] - 주로 심재를 핑거보드로써 사용. 클래식·기타 및 어쿠스틱·기타의 사이드와 백(뒤판). 특히 프리CBS시대의 휀다사의 핑거보드로 사용되어, 하카랜드 핑거보드의 속칭으로 빈티지·매니아들로부터 불리어지고 있다. [비중] 0.75 - 0.90 [평균적 음질특성] - 로즈우드(인디안·로즈우드)와 거의 다르지 않다. 어쿠스틱·기타의 탑(앞판)과 백(뒤판)재로써, 그 따뜻하고 무딘 울림소리에 매니아가 많다. 수입금지가 된 현재, 아름다운 나무결의 핑거보드재로써 귀중가치가 높다. 핑거보드재로써는 흡수성, 연주성 모두 뛰어나다. <br> [유사종] - 혼듀라스·로즈우드 에보니 [별명/속명] - 이스트인디안·에보니, 흑단. D.melanoxylon/Roxb(India), Macassar Ebony(Celebes), Andamn, marblewood(Andamn) [원산지] - 인도, 미얀마, 스리랑카, 타이, 말라야, 필리틴,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등 동남아시아 각 제도에 넓게 분포. 여기에 속하는 수목은 약 200종을 넘는다. [수목특성] - 산공재(散孔材). 수목높이 25m(80ft∼ ), 직경 0.6-1.5m(2-5ft). 심, 변재의 색조는 수목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구별이 불명료한 것도 있다. 흑단(D.ebenum)의 변재는 회색, 심재는 옅은 흑색. 스리랑카나 동남아시아산의 변재는 약간 회색이고, 심재는 흑색에 회색 줄무늬가 있어, 줄무늬흑단이라고도 불리어진다. 표면은 닦으면 거울과 같은 광택이 나온다. 나무결은 곧고, 드물게 얇게 교착. 매우 단단하여 가공은 곤란하다. 양호. 휘어짐, 굽어짐, 쪼개짐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건조에 주의. 로즈우드보다 고가이고 가치가 높다. [기타에서의 사용부분] - 고급기종의 핑거보드. [비중] 0.98 - 1.16 [평균적 음질특성] - 로즈우드보다 단단한 재목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음질도 경질에서 늦춤과 당김(음률의 고저나 억양)이 있다. 서스틴, 음의 첫시작 모두 좋다. 흡수성은 로즈우드보다 조금 떨어지지만 핑거보드로써 충분한 강도, 연주성을 지닌다. 경질에서 뛰어난 어택을 지니고, 특히 베이스의 핑거보드로써도 최상질. [유사종] 아프리칸·에보니 하드·메이플(단풍나무) [별명/속명] - Rock Maple / Hard rock maple (UK / Canada / US), White maple(USA) [원산지] - 캐나다, 미국동부, 태평양연안 북부 [수목특성] - 산공재(散孔材). 비교적 대형의 수목으로 그 중에서는 30m(100ft)를 넘는 것도 있다. 긴밀하고 표면은 면밀하다. 중량은 무겁지만 매우 뛰어난 강도·내구성을 지니기 때문에, 기타 및 베이스의 네크(목)로써 최적. 경질에서 매우 탄력성이 있는 목재. 크림·화이트이고 곧은 나무결. 그다지 화려한 나무결은 아니지만, 때때로 불규칙한 칼리(호랑이 ?)가 있다. 강도가 높은 목재이지만, 휘어지기 쉬워 건조에 주의가 필요. [기타에서의 사용부분] - 대부분의 메이커의 기타 및 베이스의 네크에 사용되고 있다. 바디재로써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비중] 0.65 [평균적 음질특성] - 매우 탄력성이 풍부하고, 어택, 서스틴 모두 우수하다. 일렉트릭(전기)기타의 네크재로 필요한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고 있다. 현의 장력(팽팽히 끌어당기는 힘)에 지지않는 강도를 갖추고 있고, 음의 윤곽이 확실한 깨끗한 음향특성. 볼트·온은 물론 스루넥에 있어서도 가장 잘 사용된다. [유사종] - 카에데(단풍나무, 일본). 주로 이타야·카에데 소프트·메이플(단풍나무) [별명/속명] - 실버·메이플, 레드·메이플 [원산지] - 캐나다, 아메리카 동부 / 태평양연안 [수목특성] - 산공재(散孔材). 수목높이 40m(131ft), 직경 0.6-1.2(2-4ft). 레드·메이플은 최대 30m정도. 하드·메이플과 비교해 백색이 강하고 미세한 표면을 지닌다. 레드·메이플 종은 조금 옅은 적색. 같은 메이플이라도 강도, 경도는 꽤 약하고, 중량도 가볍다. 빅리프·메이플이라는 별명도 있고, 화려한 피겨드나 킬테드의 매우 아름다운 호랑이무늬가 잘 보인다. 휘어짐, 굽어짐이 생기기 쉬워 건조에 주의가 필요. 부드러워 가공하기는 쉬우나 강도, 내구성이 결여되어 있다. 호랑이무늬는 매우 고가이고, 시장가격도 상승. 호랑이무늬의 등급이 높은 것은 입수 곤란. [기타에서의 사용장소] - 레스폴이나 PRS등, 라미네이트·바디의 탑(앞판), 세미·어쿠스틱, 풀·어쿠스틱의 탑 및 사이드와 백에 사용. 네크(목)에도 사용된다. [비중] 0.55 - 0.61 [평균적 음질특성] - 향진(響振), 이른바 울림이 좋은 재목. 하지만, 강도가 낮기 때문에, 서스틴, 날카로운 어택이 부족하고, 중저음도 부족하다. 세미·어쿠스틱 등의 바디 재목으로써는 적절하다. 또 라미네이트·바디의 탑(앞판)재로써는 마호가니 등과 짝을 지어 밸런스가 좋은 음역을 만든다. [유사종] 시카모어 베이스우드 / 라임 [별명/속명] - 아메리칸·라임, 라임·트리, 인디안·트리 [원산지] - 유럽, 아시아 동부(라임), 캐나다 및 아메리카 동부(아메리칸·라임) [수목특성] - 산공재(散孔材). 수목 높이 20-30m(65-100ft), 직경 1.2m(4ft). 크림·엘로이고 조금 푸른경향을 띤 색조로 별명 라임·우드라고 불린다. 나무결은 곧고, 이렇다 할 나무결은 없다. 중간정도의 견고함을 지닌 수목이고, 경도는 비교적 약하다. 건조도 양호하고 가공하기도 매우 쉽다. 중량도 가볍다. [기타에서의 사용부분] - 기타 및 베이스의 바디. 10년정도 전에 샤벨사의 특히 아랑·홀즈워스·모델에 사용되고부터 각 기타·메이커에 사용되게 되었다. 그 이전은 그다지 악기용으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부드럽고, 가공하기 쉽고, 시장가격도 비교적 싸기 때문에 스탠더드·모델에 잘 사용된다. [평균적 음질특성] - 솔직 동시에 단조롭고, 그다지 큰 특징이 없는 톤. 역으로 말하면, 날카로운 어택, 저음역의 음량이 풍부하지 못하다. 이 재목이야말로 마운트할 픽업이나 기타 본체의 디자인(설계/구조)에 힘입은 바가 클 것이다. [비중] 0.41 [유사종] 시나노키(참피나무, 일본) 스왐프 애쉬 [별명/속명] 라이트 애쉬 [원산지] 아메리카남부 다습지대 [수목특성] - 환공재(環孔材). 화이트 애쉬의 유사종이지만 비중이 꽤 가볍기 때문에 별명이 화이트 애쉬라고 불린다. 통상 애쉬보다 나뭇결이 촘촘하며, 검은 반(班)이 많다. 나무높이도 화이트 애쉬와 비슷하다. 같은 나무종류라도 산지(産地)와 환경에 따라 특성이 이렇게 다르다는 좋은 예. 건조도 양호하고 부드러워 가공하기 쉽다. [기타에서의 사용부분] 기타 그리고 베이스의 바디 [비중] 0.42 [평균적 음질특성] - 화이트 애쉬에 비하여 약간 저음으로 부족하다. 그러나 고음이 없어 꽤 괜찮다. 빈티지계의 싱글코일·톤을 이끌어낸다. 올드·펜더의 스트라토캐스터 등으로 사용된 애쉬는, 이 종류이다. 이 사진들과 글들은 g-cat.co.kr/ 에서 퍼왔습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페이스북 트위터
http://www.motorfinger.net/648/?page=18URL복사
댓글11:::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꼬변2004.07.30. AM 10:36 답글수정삭제신고
  마호가니가 짱임다! ㅋㅋㅋㅋ
M-LOVE2003.01.21. AM 8:58 답글수정삭제신고
  진짜 기네요..... -_-a
자신에게 맞는거요?
편하고 맘에 드는거 쓰는거 맞나요?
리아2002.08.30. AM 12:17 답글수정삭제신고
  목재의 건조상태나 나뭇결등이 소리를 좌우하며 단순히 재질로서 평가 하는건 무리 입니다 일반적인 상식으로서 알아두면 좋을거 같고 자신이 원하는 소리를 찾는 작업이 기타란 악기를 이해하는 한가지 길 입니다. 장르에 맏는 적절한 악기야말로 명기가됨에 부족함이 없겠지요.많은 악기를 접해보고 자신에게 가장 어울리는걸 찾아 보세요.
으메 적셔주능겨~2002.08.24. PM 12:11 답글수정삭제신고
  무늬목을 덧씌우다녀?

메이플 탑 덮힌 기타인가여??

보통 메이플 탑 덮힌 기타가 소리도 좋고 훨 비쌉니당
일류초보2002.08.24. AM 11:36 답글수정삭제신고
  ㅎㅎㅎ 내기타 앨더 바딘데 -_-위에 무늬목 덧씌운 것임 -_- 가와사미 기타 ㅎㅎㅎSME-1200임다.. 좋은 기타인지;;
j_petrucci2002.08.23. AM 2:59 답글수정삭제신고
  컥.. 로즈우드 바디.. 참 드문건데.. ㅎㅎㅎ
으메 적셔주능겨~2002.08.20. PM 3:17 답글수정삭제신고
  로즈우드는 바디보다 넥에 많이 쓸텐데..
아가페2002.08.19. PM 8:41 답글수정삭제신고
  휴~ 다읽었다. 제 기타는 로즈우드 바디~ 넥은 볼트온이라고 카던데...
달빛기타2002.08.17. PM 3:25 답글수정삭제신고
  크크 근데, 똑같은게 두번있는거 같은데.... ^^*
으메 적셔주능겨~2002.08.17. PM 1:17 답글수정삭제신고
  아 수정하기 귀찮아서 걍..ㅡ.ㅡ;
스퀘어2002.08.17. PM 1:10 답글수정삭제신고
  우~~와... 읽는데.. 꽤 오래걸렸네요~ 흐흐.. 이거.. HTML 인가 부죠?
<br> ';;;;;;;;;;

공지사항

서비스 전체보기 >
서버 접속중...
음소거를 해제 해주세요.